6732.섬김과 사랑 > 이선구의행복비타민

본문 바로가기

자료센터

이선구의행복비타민

HOME  자료센터  이선구의행복비타민

6732.섬김과 사랑 (10/04 ~ 10/04)

본문

 

이선구의 행복비타민6732회

2023.10.4(수)

6732.섬김과 사랑

이선구의 행복비타민 6732회차

2023.10. 4 (수)

6732.섬김과 사랑

선교사 엘리자벳 조안나 셰핑은 1880년 9월 26일 독일에서 미혼모의 아이로 태어났습니다.  

그의 어머니 안나 셰핑은 세 살배기 딸을 가톨릭 신자 조부모에게 맡기고 미국으 로 이민 가버렸습니다.  

셰핑은 할머니의 보살핌 아래서 초등학 교에 입학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할머니 마저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렇게 셰핑은 태어나면서부터 버림과 외로움을 몸소 겪으면서 자랐습니다.  

그의 나이 9살 어머니의 주소가 적힌 종이 쪽지 한 장 달랑 손에 들고 그의 어머니를 찾아 미국 길에 올랐습니다.  

1889년 어머니를 재회한 후 그녀는 가톨릭재단의 성마가병원 간호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1901년 뉴욕에 있는 시립병원에서 간호사 실습을 하면서 동료의 권유로
장로교회에 다니게 되면서, 가톨릭에서 장로교로 개종을 하게 되어 성경교사
훈련학교에 입학, 8년이 지난 그녀의 나이 31세 때 겨우 졸업했습니다.  

당시 미국인들에게 조선은 알려지지 않은 낮선 땅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셰핑은 조선 선교를 지원했습니다. 왜냐하면, 조선의 많은 사람들이 전염병 으로 죽음에 내몰리고 있다는 선교 정보 를 얻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셰핑은 선교사 서약에서 조선인을 위해 그의 일생을 바칠 것을 다짐하고 1912 년 2월 20일 32살의 셰핑은 미국 남 장로교회 조선의료선교사 신분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선으로가는 코리아 호에 올라 그해 3월 19일 부산항에 도착 했고, 작은 예수의 삶을 시작했습니다.  

광주에 와서 맨 먼저 한국말과 한국 풍습 을 익히면서 이름도 한국식으로 지었습 니다.  

그녀는 원래 성격이 조급했기 때문에 매사에 서서히 임한다는 생각으로 성을 서(徐)씨로 하고, 이를 더 강조하는 뜻에 서 이름의 첫자를 천천히 할 서(徐)자로
두번째 자는 모난 성격을 평평하게 한다 는 뜻에서 평평할 평(平)자를 붙여 서서 평이라고 했는데, 이는 그의 본 이름인 셰핑의 발음을 본따 살린 것이기도 했습 니다.  

서서평은 서양 선교사라기 보다 진정한 한국인이 되고자 했습니다. 고무신에 한복을 즐겨 입고 된장국을 좋아했습니 다.  

그녀는 옥양목 저고리에 검은 통치마를 입고 맞는 신발이 없어 남자용 검정 고무신을 신었습니다.  

조선 사람들이 평소 입는 옷과 신발을 신고 조선말을 하던 서양 처녀 서서평은 광주 사람들과 함께하기 위해 결혼도 거절하며 평생 독신으로 살았습니다.  

서서평의 첫 사역지는 광주 제중원, 군산의 구암예수병원, 그리고 세브란스 등 세 병원에서 일을 해가면서 간호원을 총감 독하고, 간호원들을 훈련시켰습니 다.  

어느 기자가 서서평과 인터뷰하면서 물었습니다. 당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 입니까? 그러자 서서평은 주저하지 않고 대답했습니다. 조선 여성들 가운데서 미래 지도자들을 키우는 일입니다.  

부모의 반대로 학교에 입학하지 못한 아동들, 결혼은 했으나 소박당한 여인들,
남편과 사별한 여인들, 불우하고 기회를 놓친 다양한 계층의 여인들을 상대로 신학교인 이일(裡一)학교;1961년 전주 로 이전 (한일장신 대학교로 개명), 조선 간호부회(대한 간호협회 전신)를 세운 것도 이들을 가르쳐 자립을 돕기 위해서 였습니다.

셰핑 서서평 선교사는 1년에 최소한 백 여일을 조랑말을 타거나 아니면 봇짐을 머리에 이고 다니며 가난하고 병든 사람 을 찾아 순회 전도하고 그들의 벗이 되어 주었습니다.  

그녀는 전도 여행을 다녀온 후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이번 여행에서 500명이 넘는 조선 여성을 만났지만 이름을 가진 사람은 10명도 안 됐습니다.
조선 여성들은 돼지 할머니, 개똥 엄마, 큰년, 작은년 등으로 불렸습니다.  

여인들은 남편에게 노예처럼 복종하고, 집안일을 도맡아 하면서도 아들을 못 낳는다고 소박맞고, 남편의 외도로 쫓겨 나고 가난하다는 이유로 팔려 다녔습니 다.  

이들에게 이름을 지어 주고 한글을 깨우쳐 주는 것이 제게 가장 큰 기쁨 중 하나입니다. 서서평에게 있어서 간호사 역, 사회사역만큼이나 비중을 차지했던 사역이 또 전도사역이었습니다.  

순회전도를 통해 서서평은 가을과 겨울 농한기에 시골 교회를 두루 돌아다니면 서 성경을 가르치며 부인회를 조직했습 니다.  

선교사들과 함께 전도하였던 이 교환 목사는 서서평을 가리켜 1000대1이라 하였습니다. 1000명분의 일을 할 만큼 열정과 근면함으로 일했다는 뜻입니다.  

그때, 선교사에게 주어진 하루 식비는 3원, 그러나 서서평은10전으로 허기를 채우고 나머지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썼습니다.  

걸인들을 데려와 씻기고 옷을 사 입히는 가 하면, 버려진 아이를 수양아들로 삼아 길렀습니다. 그렇게 데려다 키운 아이가 14명, 아이 낳지 못해 쫓겨나거나 오갈 데 없는 여인 38명도 거두어 보살폈습 니다.

한번은 병원 앞에 버려진 아기를 어느 집에 맡겼는데 잘 키우겠다는 약속과는 달리 술 심부름을 시키는 것을 보고 그 동안의 양육비를 주고 데려오기도 했습 니다.

그녀는 1930년 마지막 선교보고서를 썼습니다. 서서평은 미국에서 많은 여성 들이 담배를 피우는 것을 보고 여성들이 담배에 사용하는 돈만으로도 영적으로 죽어가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뿐 아니라 조선의 모든 한센 환자들을 돌볼 수 있을 것이라며 안타까워 했습니다.  

어느 추운 겨울날, 서서평은 광주천 부동교 밑 어느 움막 속으로 불쑥 들어 갔습니다. 그곳에는 거지 노인이 있었습니다. 서서평은 아무 거리낌 없이 다리 아래서 거적을 덮고 잠을 청하던 그를 깨우며 말했습니다.  

"최씨 아저씨 아직 안 죽고 살았소. 이불을 가져왔으니 덮고 주무시오." 서평은 이불과 요를 나눠주고 어둠속으 로 총총히 사라졌습니다.

추운 겨울 한밤중 빈민들을 생각하며 자신이 덮고 쓰던 이불과 요를 필요한 사람에게 나누어 주다 보니 정작 자신의 이불은 없었고 옷만 단 두 벌뿐이었습 니다.  

서서평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남을 불쌍히 여기는 사랑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사랑의 종교에서 구제를 제해버린다면 남는 것이 무엇일까요? 이웃을 사랑하는 구제는 사랑의 발로입니다.  

제 아무리 십자가를 드높이 치켜들고 목이 터져라 예수님을 부르짖고 신자라 자처한다 할지라도 구제가 없다면 그는 참 기독교인이 아닙니다.  

1933년, 서서평은 조선인 목회자 등 동역자들과 함께 50여 명의 나환자를 이끌고 서울로 행진을 시작합니다. 강제 거세 등으로 나환자들의 씨를 말리는 정책을 펴고 있던 일제 총독부에 나환자 들의 삶터를 요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소식을 들은 전국 각지의 나환자들이 이 행진에 합류했습니다. 서울의 총독부 앞에 이르렀을 때 동참한 나환자들의 숫자는 530여 명에 달했습니다. 결국 총독부도 두 손 다 들었고, 소록도 한센 병 환자 요양시설과 병원은 이렇게 시작 됐습니다.  

무엇보다 낮은 곳을 향한 끊임없는 서서평의 관심은 자신의 어머니로부터 버림받고 사랑을 받지 못한 상처가
크나큰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과부의 심정은 과부만이 알 수 있듯이 고아의 상처와 눈물을 자신이 충분히 겪었기에 진심으로 이들을 섬길 수 있었던 것입니다.  

거적떼기를 덮고 자는 사람에게 그녀의 담요 반쪽을 찢어주고 남은 반쪽으로 앙상해진 몸을 가린 채 이 땅의 삶을 그렇게 마쳤습니다.

서서평이 22년간의 조선에서 선교사의 생활을 하는 도중 언제나 어려운 사람들 에게 전부 나눠 주고 베풀다가 정작 자기 자신은 영양실조로 1934년 6월 26일 55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날 때 남긴것은  

[강냉이 가루 2홉, 현금 7전, 반쪽짜리 담요한장.. ]

이것이 그의 유품의 전부였습니다.

시신마저 기증하고 떠나는 그녀의 장례식은 사회장으로 치러졌고, 장례 행렬을 뒤따르던 천여명은 통곡하며 한 목소리로 외쳤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그로부터 90 여년이 흐른 오늘까지도 서서평이 묻힌 광주광역시 양림동 뒷동산에는 그의 참사랑과 헌신을 기억 하고 추모하는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녀가 사용하던 침대맡에는 이런 글귀가 적혀 있었다 합니다.

“성공이 아니라 섬김이다."


주소 : (21006)인천광역시 계양구 황어로 134번길 28 (장기동 152-5)   고유번호 : 107-82-63302   이사장 : 이선구
전화 : 1600-4022 (02-780-5332~3)   팩스 : 02-780-5336   E-mail : loverice5333@naver.com
Copyright ⓒ 2017 사랑의쌀나눔운동본부.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